<> 10대들의 사이버 범죄 문제와 원인 해결방안 부모의 개입 오프라인 활동 해커
본문 바로가기
범죄심리학

10대들의 사이버 범죄 문제와 원인 해결방안 부모의 개입 오프라인 활동 해커

by 생활정보와 뮤지컬 2024. 2. 7.
반응형

현재 인터넷을 통한 심각한 범죄 행위가 증가하고 있는데, 이 중에서도 특히 10대들에 의한 범죄가 큰 문제로 대두되고 있습니다. 이들이 저지르는 범죄는 매우 심각한 수준으로, 돈을 훔치거나 성적으로 고문하는 등의 사건이 온라인에서 빈번히 발생하고 있습니다. 그렇다면 이런 일들이 왜 발생하는지 알아보겠습니다.

 

10대들의 사이버 범죄 문제와 원인 해결방안 부모의 개입 오프라인 활동 해커
10대들의 사이버 범죄 문제와 원인 해결방안 부모의 개입 오프라인 활동 해커

 

10대들의 사이버범죄의 문제와 원인 해결방안

 

10대들의 사이버 범죄 사례

최근에는 캘리포니아의 17세 청소년이 스와팅과 가짜 폭탄 제보 등을 통해 경찰 특수 부대를 특정 장소로 보내 의미 없는 위협을 가하는 사례가 보도되었습니다. 스와팅은 허위 신고로 경찰을 호출해 해당 장소에 있는 사람들을 위협하는 행위를 말합니다. 또한 허위 폭탄 제보는 폭탄이 설치되어 있다는 거짓 정보를 전달하여 공포를 조장하는 것입니다. 이런 사안들에서 흔히 표적이 되는 곳은 무슬림 모스크, FBI 사무국, 대학 등입니다.

 

앱을 통한 범죄

또한 최근에는 위즈라는 앱을 통한 범죄도 심각한 문제로 대두되고 있습니다. 위즈는 틴더와 유사한 데이팅 앱으로, 주로 10대를 대상으로 합니다. 그러나 이 앱은 사이버 범죄자들에게 악용되고 있어서 구글과 애플이 이를 삭제하기도 했습니다. 이 앱을 통해 범죄자들은 10대들을 꼬드겨 각종 범죄 행위의 표적으로 삼았습니다.

 

10대들의 사이버 범죄 부각

10대들이 저지르는 범죄가 더욱 심각한 문제로 대두될 수 있도록, 최근에는 해커인 '킹 밥'과 같은 사례도 보도되고 있습니다. 이러한 해커들은 금융 사기나 신원 도용 등의 범죄를 저지르는데, 특히 암호화폐 사기 사건을 통해 상당한 금액을 탈취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사안들이 10대 사이버 범죄의 심각성을 더욱 부각하고 있습니다.

 

10대들의 사이범 범죄의 다양한 원인

10대들이 사이버 범죄에 빠지는 원인에는 다양한 요인이 작용하고 있습니다. 보안 업체 크리티컬스타트(Critical Start)의 수석 위협 분석가 사라 존스(Sarah Jones)는 이를 "호기심, 고립감, 금전적 압박, 도전적 스릴, 왜곡된 이상주의, 또래들 사이에서 느끼는 압박감" 등으로 설명합니다. 초기에는 순수한 호기심으로 취약점을 연구했던 것이 온라인에서 환호를 받으면서 기쁨을 느끼게 되고, 경우에 따라 금전적 보상도 따르게 됩니다. 이런 환호와 보상에 눈이 멀어 범죄 행위에 더욱 몰입하게 되는 것입니다.

 

해적판 소프트웨어 노출

게다가 10대들이 게임이나 해적판 소프트웨어 등에 노출되는 것도 영향을 미칩니다. 보안 전문가인 존 밤베넥(John Bambenek)은 온라인 범죄와 게임, 해적판 소프트웨어 등이 구별되지 않는다고 지적합니다. 특히 이들은 빠르게 보상이 돌아온다는 점에서 유사하며, 법은 멀지만 보상은 가까운 온라인 범죄의 유혹에 빠지게 됩니다.

 

또한 밤베넥은 현실에서 우리가 놓치거나 무시하는 부분이 온라인 범죄에 영향을 미친다고 지적합니다. 최근에는 인공지능이 제작한 외설적인 동영상과 이미지가 논란이 되었는데, 실제로 고등학생들이 이를 통해 동급생을 괴롭히는 사례가 있었습니다. 그러나 아무도 이를 주목하지 않았습니다. 이러한 구조는 피해자가 유명해야만 사건에 관심을 가지는 것과 관련이 있으며, 범죄자 양육에도 영향을 미칩니다.

 

또한 사이버 심리학 교수인 스테이시 테이어(Stacy Thayer)는 10대가 사이버 범죄에 자주 당하다보니 오히려 사이버 범죄에 익숙해지는 면도 있다고 지적합니다. 또한 일부 조직은 10대를 노림으로써 범죄 시장에 끌어들이는 경우도 있으며, 10대가 받는 처벌이 상대적으로 가벼워서 스스로 피해자가 되면서도 가해자로 변하는 구조가 형성되어 있다고 합니다.

 

 

10대들의 사이버 문제 해결하기 위한 방안

 

사이버 범죄에 빠지는 10대들에 대한 대응 방안에는 다양한 접근이 필요합니다. 버그크라우드(Bugcrowd)의 최고 전략 책임자인 케이시 엘리스(Casey Ellis)는 기술 발전이 문제의 원인이 되기도 한다고 언급합니다. 기술은 편리함과 속도를 높여주지만, 이러한 특성이 악의적인 목적으로 이용될 수 있다는 점을 간과해서는 안 된다고 강조합니다. 특히 10대들은 디지털 기술을 능숙하게 사용하며 쉽게 유혹에 빠질 수 있다는 점을 고려해야 합니다.

 

적극적인 부모의 개입과 오프라인 활동

테이어는 이 문제에 대한 해결책으로 부모의 개입을 강조합니다. 부모는 자녀의 온라인 활동을 주의 깊게 지켜보고, 그들을 보호해야 한다고 말합니다. 특히 코로나 팬데믹으로 인해 온라인 활동이 더욱 증가하면서, 부모의 역할은 더욱 중요해졌습니다. 부모는 자녀들을 컴퓨터 바깥의 세계에 대해 이해하도록 유도하고, 다양한 경험을 제공하여 오프라인 활동에 대한 흥미를 유발해야 합니다.

 

또한 테이어는 10대의 사이버 범죄가 새로운 현상은 아니라고 지적합니다. 오히려 이전에도 10대들은 최신 기술을 탐구하고, 규칙을 어기거나 법을 위반하는 경우가 있었습니다. 그러나 이러한 행동이 사이버 공간으로 옮겨지면서 문제가 더 커졌다는 것을 강조합니다.

 

해커에서 보안전문가

실제로 과거 해커였던 사람들이 사이버 보안 전문가로 전환하는 사례도 있습니다. 케빈 미트닉(Kevin Mitnick)은 자신의 경험을 바탕으로 사이버 공격을 막고 있습니다. 그는 어른들의 지침과 가이드라인이 시대에 맞추어져야 한다고 강조합니다.

요약하면, 10대의 사이버 범죄 문제에 대한 대응은 부모의 개입과 지도가 중요합니다. 더 나아가서는 사회적 교육과 보안 교육을 강화하여 10대들이 온라인 활동을 안전하게 할 수 있도록 지원해야 합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