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대한민국 사형제도 부활하나 서울구치소로 모이는 사형수들 유영철 강호순 정두영
본문 바로가기
범죄심리학

대한민국 사형제도 부활하나 서울구치소로 모이는 사형수들 유영철 강호순 정두영

by 생활정보와 뮤지컬 2023. 9. 28.
반응형

사형제도는 범죄자에 대한 형벌 중 하나로, 해당 범죄자의 생명을 박탈하여 사회로부터 영구히 제거하는 형벌입니다. 사형은 많은 국가에서 형벌 중 하나로 존재하며, 범죄의 성격과 심각성에 따라 사용됩니다.

 

대한민국 사형제도 부활하나 서울구치소로 모이는 사형수들 유영철 강호순 정두영
대한민국 사형제도 부활하나 서울구치소로 모이는 사형수들 유영철 강호순 정두영

 

실질적 사형폐지국가 대한민국

대한민국을 포함한 몇몇 국가에서는 오랜 기간 동안 사형을 집행하지 않거나 형법상으로는 사형을 포함하고 있지만 실제로는 폐지된 상태인 경우도 있습니다. 이러한 상황에서 국제엠네스티와 같은 인권 단체는 해당 국가를 실질적 사형폐지국가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사형제도 논의 필요성

사형제도의 집행 여부와 범죄에 대한 사형 요구는 국가와 사회에서 항상 논쟁의 대상이며, 이는 법과 정부의 힘의 한계를 놓고 고민하게 만드는 중요한 이슈 중 하나입니다. 사형은 범죄자에 대한 엄격한 처벌로 인식되지만, 그것이 인권에 어긋나는 경우도 있을 수 있으며, 이에 대한 논의와 결정은 국가의 법과 정책에 따라 다를 수 있습니다.

 

사형을 집행야하는 이유 3가지

사형제도를 유지하고 집행하는 이유는 여러 가지 측면에서 논의됩니다. 아래에는 사형제도를 유지해야 하는 주요 이유 세 가지를 제시하겠습니다.

 

1. 범죄 예방과 경감

사형제도의 존재는 범죄자에게 두려움을 불러일으켜 범죄 예방에 기여합니다. 범죄자들은 범죄 행위의 결과로 자신의 생명을 잃을 수 있다는 두려움을 통해 범죄를 저지릅니다. 이로 인해 범죄율이 감소하고, 사회의 안전성이 향상될 수 있습니다. 범죄를 계획하더라도 사형이라는 엄중한 처벌을 두려워하게 되어 범죄의 진행을 망설이게 만듭니다.

 

2. 정의와 보복 방지

사형제도는 피해자에게 정당한 정도의 보복 기회를 제공합니다. 범죄자가 흉악한 범죄를 저지른 경우, 그 범죄로 인한 피해자나 피해자의 가족은 정당한 보복의 권리를 요구할 수 있습니다. 사형집행을 통해 범죄자에 대한 정당한 처벌이 이루어짐으로써, 피해자나 피해자의 가족은 스스로 보복을 추구하지 않아도 되며, 사회적으로도 보복 행위를 억제할 수 있습니다.

 

3. 오심 줄이기와 사회 안전 강화

사형제도를 통해 범죄자에 대한 심각한 처벌이 이루어지더라도, 이를 통한 오심 발생 가능성을 줄이기 위한 제도와 원칙이 존재합니다. 3심 제도나 무죄 추정의 원칙을 통해 오심을 최소화하고, 정당한 재판 절차를 확립합니다. 따라서 오심 가능성을 줄이며 무고한 시민을 보호합니다.

 

요약하면, 사형제도는 범죄 예방과 경감, 피해자의 보복을 방지하며 오심을 줄여 사회의 안전을 강화하는 역할을 합니다. 이러한 이유로 사형제도의 존재와 유지가 필요하다고 주장됩니다.

 

대한민국 사형제도 부활하나

미집행 사형수인 유영철과 정형구가 서울구치소로 이송되면서 사형 집행 논란이 다시 떠오르고 있습니다. 이에 대한 논의와 관련된 내용은 아래에서 서술하겠습니다.

 

서울구치소 사형수

사형 집행 시설 갖춘 서울구치소는 최근 법무부의 점검 결과를 통해 실질적인 사형 집행 시설을 갖춘 유일한 교도소로 확인되었습니다. 이로 인해 서울구치소에는 연쇄 살인범인 강호순, 정두영 등도 수감 중이며, 이곳으로 유영철과 정형구가 이송되었습니다.

 

사형 집행 재개 논란

사형 집행을 멈춘 이후 26년 동안 사형이 집행되지 않아 실질적 사형 폐지'국가로 분류되었습니다. 이는 인권, 오판 가능성, 외교 문제 등 다양한 고려사항 때문입니다. 한동훈 법무부 장관은 사형 집행이 여러 철학적 고민과 외교 문제를 유발할 수 있다고 밝혔습니다.

 

국내와 국제적 추세

국제적으로 사형제도의 폐지 추세가 강화되고 있으며, 사형을 집행하는 국가가 줄고 있습니다. 한국은 OECD 회원 국가 중에서 사형을 집행하는 국가가 미국과 일본 뿐이며, 이를 집행하지 않는 국가 중에서는 유일한 국가입니다.

 

헌법소원 심리 진행 중

사형제도에 대한 헌법소원 심리가 현재 진행 중입니다. 헌법재판소는 과거에 사형제도에 대한 합헌 결정을 내렸으나, 현재의 심리에서 위헌 의견이 앞설 가능성도 제기되고 있습니다.

 

지역 정치적 의견

지방 정치인인 홍준표 대구시장은 사형 집행을 필요로 한다는 입장을 밝히며, 사형 집행이 직무 유기로 여겨질 수 있다고 주장하였습니다.

 

서울구치소 수감중인 사형수 4명

  • 유영철: 20명 살인한 살인범
  • 정형구: 삼척 신혼부부 살해범
  • 강호순: 연쇄 살인범
  • 정두영: 유영철을 롤모델로 여기는 10명을 살인

2023.07.05 - [범죄심리학] - 강호순 연쇄살인 성장과정 소시오패스 여부

 

강호순 연쇄살인 성장과정 소시오패스 여부

강호순은 대한민국의 연쇄강간범, 연쇄살인범, 그리고 사형수입니다. 그는 1969년 10월 10일에 태어났으나, 출생신고가 늦어져 주민등록상으로는 1970년 3월 1일생으로 표기되었습니다. 충청남도

psygogo.tistory.com

2023.06.25 - [범죄심리학] - 유영철의 범죄심리 분석 유년기 통제 장애

 

유영철의 범죄심리 분석 유년기 통제 장애

유영철은 2003년과 2004년 사이에 활동한 한국의 연쇄 살인범입니다. 그는 주로 여성 피해자인 20명의 살인을 자백했고, 한국 역사상 가장 다작의 연쇄 살인범 중 한 명으로 여겨집니다. 유영철의

psygogo.tistory.com

 

사형 집행에 대한 논의는 여러 측면에서 복잡하며, 인권, 법률, 윤리, 정치, 외교 등 다양한 이슈를 고려해야 합니다. 이러한 논의는 정부, 국회 및 국민 간의 합의와 결정을 통해 진행되어야 할 중요한 사안입니다.

반응형